본문 바로가기
마음 건강 책

주식 공부할 때 빠질 수 없는 투자트렌드, 미국연준

by 엄지책 2021. 6. 7.
반응형

주식은 트렌드 공부를 빠질 수 없어요.

우리는 앞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오늘 책은 <주식시장을 휘어잡는 투자 트렌드 14>에서

그중 1가지를 살펴볼게요.

 

주식시장의 변화는 연준의 변화에서 시작된다.

우리는 주식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도 미국 연준의 정책 변화가

우리나라와 세계경제와 연관이 깊다는 걸 알고 있어요.

그러나 미국이 2020년에 글로벌 주식시장이 폭락과 급반등 한 유동성을 제공했다는 건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해할까?

그 면에서 미국 연준의 정책 변화가 우리 경제와 연관이 어떻게 깊은지 살펴보기 위해

트렌드 1, 연준의 변화 파트를 리뷰해 볼게요.

 

미국 연방준비제도(미국 중앙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지낸 사람들:

1. 폴 볼커(1979~1987)

2. 앨런 그린스펀(1987~2006)

3. 벤 버냉키(2006~2014)

4. 제롬 파월(2018~ )

 

미국 중앙은행은?

1. 연방기금 금리 수준

2. 유동성 규모

 

즉,  달러의 양/가격을 정하는 곳

 

 

한국은행정책과 미국 중앙은행

*세계 경제가 연관되어 있음을 감안하면 미국의 정책 변화가 한국의 변화를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 수출 위주 중심

미국: 세계 경제 중심

 

미국: 연준 금리 상승

한국: 한국에 더 높은 금리로 미국 시장으로 복귀

 

*자본 유출 등을 막기 위해서 신흥국과 선진국의 금리는 달라야 하며,

신흥국 금리 > 선진국 금리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신흥국의 경기가 커지는 것.

 

최근 우리에게 위협적이었던 바이러스와 같은 존재들이 성장이 귀해졌어요.

바이러스가 오지 않았다면 더 성장했을 것이다. 오히려 시기 차이였을 뿐 성장이 멈췄을 것이다라는

의견 차이가 있었지만, 결국 성장주가 각광받을 것이라고 합니다.

힘든 시기에 주식시장을 이끌어 낸 건 성장주가 한 몫한 것.

성장주가 좋아지는 건 당연한 이야기일 테지만, 진짜 성장주를 찾아내야겠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