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몸 건강 책

분노 조절 장애 증상과 테스트

by 엄지책 2022. 3. 21.
반응형

분노 조절 장애 증상과 테스트를 해보아야 하는 이유는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그 원인을 외부에서 찾는 것입니다.

자신은 어떠한 원인이 없으니 계속해서 외부 탓을 하게 됩니다.

아무리 외부탓이라해도 인지적 오류가 발생할 수 있어

우리는 성찰이 필요합니다.

오늘의 책 <나 요즘 분노조절인가?> 책을 소개합니다.

 

분노 조절 장애 증상과 테스트

내 마음에서 끓어오르는 감정을 느낀다면.. 의심하게 되지만,

그래도 그 의심마저 들지도 않을 때도 있습니다.

 

과연 그 분노는 누가 만드는 걸까요?

분노는 나쁜게 아니라 내 마음이 많이 아프다는 신호라고 생각합니다.

내 마음에 상처가 많다 보니 

내 마음을 지키기 위한 방법으로 분노라는 감정을 계속 불러오는 것이지요.

 

하지만, 

분노를 자주 느낀다면 

결코 건강한 몸과 아름다운 표정을 지을 수 없습니다.

결국 혈압을 계속 높이게 되어 나의 건강까지 부정적으로 불러오게 만들지요.

 

이제는 내 몸이 그동안 상처가 많았기에

방어하는 감정이 얼마나 높은지 알아볼까요?

 

분노 조절 장애 테스트할 수 있는 부분을 소개합니다.

1점: 전혀 아니다.
2점: 아니다 
3점: 보통이다
4점: 그렇다
5점: 매우 그렇다

1번의 문제는 몇 점인지 

2번의 문제는 몇 점인지

각 문제의 점수를 체크하여 가장 높은 점수를 파악해봅니다.

자아성찰: 동일한 실수를 반복

외부 귀인: 인지적 오류, 외부 탓

대인 관계: 자신의 이미지 관리

내부 귀인: 자존감에 상처 

표현능력: 표현해도 필요 없다

공격성: 본능

 


책을 통해 읽어볼 만한 이유는 내가 분노하는 이유와 분노를 다루는 방법이었습니다.

누군가는 열등감이 폭발하여 분노가 일어나기도 하고,

침묵으로 분노를 표현하기도 하고,

사랑받고 싶어서 분노를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 외에도 우리는 권위에, 약자에게 분노를 표현하는데

우리는 왜 분노하는지 생각해보고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 원인을 알게 된다면, 분노를 다루는 방법이 궁금해지고,

두려움과 희망이 생길 겁니다.

두려움을 다룰 수 있을까? 두렵기도 하고

이제 좀 더 성장하고 두려움을 다루어 더 좋은 관계를

맺을 수 있을 거란 희망이 동시에 스쳐 지나갈 거라 생각됩니다.

 

오늘은 자신이 분노하고 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시간이 첫출발이라 생각하여

분노조절장애 테스트를 소개해보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