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는 금리를 주목한다고 합니다.
금리의 용어 중 비피와 퍼센트 비피까지 살펴보고,
금리의 중요한 이유 등을 책을 비롯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비피와 금리를 알면 부의 미래가 보인다.
금리 명언
실을 잇는 것도 무스비,
사람을 잇는 것도 무스비,
시간이 흐르는 것도 무스비야.
서로 모여서 형태를 만들고 뒤틀리고 얽혀서
멈춰 섰다가 다시 이어지는 게 무스비.
그게 시간이고 무스비야.
-너의 이름은
무스비= 매듭
중요한 매듭을 통해
시간이 연결되고 공간이 연결되고
각종 사건까지 증폭된다는 핵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의 경제를 비롯해 전 세계 경제에서
무스비의 역할, 매듭의 역할이 바로
국가의 정책금리겠지요.
연준(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금리나 통화정책으로
현재 많은 나라들이 고통스러워하고 있습니다.
연준의 결정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그리고 이어지는 반응들
주식, 부동산, 채권, 환율 등
수익률=금리
베이시스 포인트: basis point라고 해서 앞글자를 따와 비피
이 원금에서 이자가 차지하는 비중
표시할 때
금리 표시: 퍼센트 %
금리 변동: 퍼센트포인트 % p or 비피 bp
bp: 1/100% p
3.79bp= 0.0378% p
bp 0.1%가 올랐다면? 금리 급등과 같습니다.
bp 0.1%= 10bp
은행에서 대출 금리의 변동
2%에서 5%로 올랐을 경우
3% 상승 즉, 300pb 상승
한국은행의 발표한 경제 성장률 전망
2%에서 1.5%로 낮춰서 발표
0.5%가 낮아진 것이 아니라 0.5% p 낮췄어
=50bp 낮췄어
다시 정리
%의 변화량= % p, bp
1bp=0.01%% p
1%=100bp
금리 하면 기준금리, 연방기금금리
기준 금리: 한국 경제에서 기준이 되는 금리
왜 기준이 필요할까
예금 금리, 대출 금리, 각종 채권 금리
그렇다면 정하는 곳은 어디 일가요?
바로 금융통화위원회라고 하여 우리는 금통위라고 합니다.
한국 중앙은행: 한국은행 (=한은)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 (=연준)
금리와 GDP의 관계
삼면등가의 법칙=생산, 분배, 지출의 측면에서 국민 소득이 같아지는 것
도로와 같은 인프라가 깔릴 때는 성장률이 높으나
인프라가 구축되고 선진국이 되면 성장률이 둔화
성장률이 높을 때는 금리가 높은 편
성장률이 낮으면 금리도 낮아지는 편
돈이 쉽게 벌 수 있을 때는 금리가 높아도 그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경기가 어려워지면 금리는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국내 총 생산, 경제성장률은 금리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그 속에 비피를 말할 줄 안다면 금리 변화율에 대해서
표현할 수 있게 됩니다.
비피와 금리의 용어 이해 후
저희 집은 아이들과 함께 신문을 구독해서 보고 있습니다.
사실 경제에 대해 아무것도 모르는 편이었는데,
신문의 용어도 눈에 보이면서 책을 통해 비피라는 용어를 이해하게 되었고,
금리의 중요성과 나라 경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알아가는 재미가 있고 현명한 소비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앞으로도 저의 경제 공부를 비롯해 변화되어 가는 모습으로 찾아뵙겠습니다.
오늘의 책 금리를 알면 부의 미래가 보인다입니다.
이 책을 직접 보시게 된다면
금리와 주식, 금리와 채권, 금리와 환율까지 다양한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경제 건강 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의 추월차선 완결판에서 꼭 봐야할 부분 (2) | 2023.04.04 |
---|---|
주식투자 방법과 경제 지표의 결합 노하우 (6) | 2023.03.24 |
경제 기사 읽는 법 인플레이션의 장단점 (1) | 2023.03.24 |
경매 책 추천과 경매하는 법 포인트 (1) | 2023.03.23 |
보증금 관련 부동산 공부 할 때 추천하는 책 (0) | 2023.02.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