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음 건강 책

존재감 글귀, 돋보이는 사람들의 한 끗차이

by 엄지책 2021. 12. 21.
반응형

존재감이란 중요성, 가치,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사람에게 느껴집니다.

다른 사람의 주목을끄는 상태를 말하기도 하지요.

 

존재감이란 만들어지는 것이며

때로는 형성하는 요소와 발휘하는데 방해하는 신념이 있다고 합니다.

핵심은 연습과 준비물의 결과물이라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습니다.

존재감 글귀를 통해 최선의 방법으로 나의 존재를 찾아보는 건 어떨까요?

 

존재감이 없으면 어때요

위축되지 말고 존재감을 키울 수 있는 특성이 있다는것과 

책에서는 키울 수있는 방법까지 담겨 있습니다.

존재감 글귀

 

존재감을 가지기 위해 우리는 어떤 직위나 꿈에 대해 달성해야만

생기는 걸까요?

 

01.

조사 결과, 진정한존재감을 가진 사람들은 조직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상관 없이

'사람들을 이끈다'

'그들은 다른 사람의 권위를 존중하지만 긍정적인 영향력을 끼치기 위해

어떤 직책에 오를 때까지 '기다리지 않는다'

직위에 오르면 더 높은 존재감을 가지는 건 사실이겠지만

존재감 있는 사람들은 그 간격을 줄일 줄 안다고 합니다.

이렇게 자신을 이끌 줄 알면, 다른 사람도 이끌 수 있다는데서

자연스럽게 자신감은 가지게 됩니다.

 

02.

스스로 편안함을 느끼는 영역에서 나와

다소 불편하게 느껴지는 기회에 손을 뻗는 것이다.

스스로 편안한 기분을 느끼는가와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자신에게 도전하고 

자신의 기량을 키우는 사람이 존재감을 갖추게 된다.

2번의 존재감 글귀는 자신감을 느낄 때까지 기다리지 말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는 성장하는 과정에서 불안하고, 비판하고, 의기소침해지는 슬럼프와 같은

상황을 마주합니다.

그럴수록 더욱 편안함에서 나오라고 이야기하며,

편안한 기분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도전하라고 합니다.

나의 기량을 키우는 것,

나의 직위와 상관없이 진짜 존재감이 커지는 순간들임을 다시 이해해봅니다.

그리고 존재감을 높이는 건 도전할 수 있는 용기였습니다.

 

03.

나는 오늘 마주치는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주고 싶은가? 

자신이 바라는 의도를 명확히 파악하고 

이러한 의도와 우리가 실제 끼치는 영향력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살펴보려고 한다.

단순히 돋보이는 존재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이 어떤 사람으로 비치고 싶은지 선택하고 

그 이유를 아는 것이다.

 

04. 

자기 답다 하는 것은 자신의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고수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의도에 충실하고 자기 가치관을 잘 드러내는 것이다.

 

여기서 확대해보면 자신의 가치관을 잘 드러내고,

상대방에게도 어느 정도는 맞춰야 한다는 걸 의미합니다.

어느 정도의 융통성에 대한 중요함을 언급하는 것이지요.

나 역시도 자기다움을 잃으면 그 분위기는 불편해지기 때문이지요.

상대방도 똑같은 입장이기 때문에 융통성이 중요한 부분이겠습니다.

 

05.

카리스마에 대한 통념을 믿을 경우

'꼭 있어야 할 게 나한테는 없어, 난 부족해'라는

내면의 속삭임이 들린다.

하지만 진정한 존재감이 특정한 성격을 지닌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점을 안다.

당신의 고유함을 잃지 않으면서 존재감을 드러낼 수 있다.

우리는 자신감이 없어서 자신감이 없고, 어깨가 움츠려 듭니다.

그리고 넌 할 수 있다고 이야기해줘도

나는 할 수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이제는 모든 사람이 불안하고 흔들립니다.

존재감 있고, 자신감 있는 사람도 새로운 시작 앞에서 흔들린다는 걸 

기억한다면,

우리도 못 할 게 없습니다.

존재감은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돋보이는 사람들의 한 끗차이

자존감 글귀는 자존감에 대한 개념에 대해 다시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자존감은 성공한 사람, 자신감 있는 사람, 카리스마가 있는 사람만이

존재감을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책에서는 존재감을 가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도 언급하였습니다.

작은 제스처에도 존재감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는 이야기와

존재감을 가질 수 있는 질문까지 있으니 구체적인 이야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책을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반응형

댓글